끊임없이 도전하는 방법(심리멘토 박세니)
원본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VDmN2OlJ7XU
거절을 극복하려면 세 가지 정도를 집중해야 한다
첫 번째. 거절에 대해서 가치판단을 하지 말아야 한다.
'거절은 좋은건가? 나쁜거다' 이런 생각을 버려야 한다.
좋은 것도 아니고 나쁜 것도 아니다.
그런데도 사람은 거절은 무의식적으로 나쁜거다라는 판단을 내려버린다.
그러니 거절 당할일을 스스로 못하든가 그래서 돈을 크게 벌 수 없고, 거절을 나쁜 거라는 생각 때문에 거절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남들한테 거절을 못한다.
나쁜 짓 하는 거라고 무의식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보험 셀러가 나한테 100일동안 계속 찾아오면 처음에는 거절하다가 나중에는 거절하는게 미안해져서 보험을 팔아주는 경우가 있다.
거절을 계속할 수록 마음 어디선가 불편한 마음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렇게 거절에 대해 가치판단을 하게 되면 나중에 거절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거절을 못하게 된다.
두 번째. 거절당한 대상을 구체화해라
예를 들어, 어떤 물건을 팔려고 할 때 상대가 안산다고 하면 상대가 나를 거절했다, 우울하다. 여자한테 차였을 때도 우울하다 이런 감정이 들 수 있다.
그런데 거절당한 대상을 구체화하다보면 내가 거절 당한게 아니라는걸 알게 된다.
내가 거절당한게 아니라 내가 팔려던 물건이나 생각의 일부가 거절당한거다.
내가 팔려던 물건이나 생각이 부족했기 때문에 거절당한거다.
이런 부족한 부분을 채워서 나의 발전의 기회로 삼고 사람들에게 들이대면서 더 많이 팔면 된다.
세 번째. 상대의 상황을 고려하고, 배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돌아가신 상황인 사람에게 뭔가를 판다는건 못한다.
상대의 상황을 고려하고 집중할 수 있고 몰입할 수 있는 때인지를 보면서 들이대는게 필요하다.
상대를 배려하라는 뜻은 두가지로 나뉜다. 강자의 배려, 약자의 배려
약자의 배려
사업이 커지려면 대단한 사람들을 만나야하는데, 그 사람들을 언제 만나는게 배려가 될까?
신사임당 : 점심, 저녁같은 식사시간?
그럼 어떤걸 먹자고 해야할까?
신사임당 : 모르겠다. 생각해본적이 없다
이런 것에 대한 확신이 없는건 약자이기 때문이다
약자의 배려는 없다. 강자만 배려한다.
약자일때는 강자의 처분만 기다릴 뿐이다.
마음의 세팅을 해야 한다.
약자는 언제 가야할지도 모르고, 상대방 생각만 하게 되고, 본의 아닌 배려를 하게 된다.
'저 사람 바쁘겠지? 연락하면 안되겠지?' 이게 약자의 심리상태다.
강자의 심리상태란 애니타임, 애니플레이스, 애니바디.
'내가 만나주는것이 그사람에 대한 배려다'라는 생각을 해야 한다.
이런 생각이 마음에 구축이 되어야 한다.
'외부 세미나 & 특강 > 신사임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Youtube/신사임당] 아직 다른사람의 선택에 내 삶을 맡기고 있는 당신에게 (0) | 2021.03.19 |
---|---|
[Youtube/신사임당] 무기력을 벗어나는 첫걸음 (정우열 정신과전문의) [무력감, 무기력, 의욕감퇴, 의욕상실] (0) | 2021.03.17 |
자존감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것들 (전미경 정신의학과 전문의) (0) | 2021.03.15 |
[Youtube/신사임당] 자존감 키우기, 자존감 차이가 생기는 시점 (ft.정신의학전문의 정우열) (0) | 2021.03.14 |
[Youtube/신사임당] 인맥 끊어지고 나서야 깨달은 것들 (성진아 코스모지나) (0) | 2021.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