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외부 세미나 & 특강/신사임당

[Youtube/신사임당] 하면 할수록 가난해지는 말 습관 (문성후) [화술, 말, 대화법, 습관]

반응형

하면 할수록 가난해지는 말 습관 (문성후) [화술, 말, 대화법, 습관]

원본 영상 : www.youtube.com/watch?v=NRgqycmFMPA

 

시장가서 장을 봐도 말 한마디도 살갑게해서 다시 가게끔 장사하는 분들이 있다.
말 한마디 하더라도 정떨어지게, 다시 오고 싶지 않게 하는 곳도 있다.

회사에서도 우수 인재에게 상사가 폭언을 하거나 섭섭하게 말하거나 배려없이 말해서 떠나는 경우도 있다.

인간관계는 사실 추상적이다.
인간관계가 표출되는건 말하기다.
말때문에 사람 감정이 상한다.

혀 밑에 도끼가 있고, 말로 사람을 벤다고 하는 말도 있다.
말하기의 안좋은 결과는 사람 떠나고, 인심 떠나고, 돈 잃고 이렇게 되는 것 같다.


나도 모르게 주위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고 있을 수도 있다.
요즘 주위를 보면 상대가 나에게 주는 스트레스에 집중하는데, 내가 상대에게 스트레스나 피해를 줄 수 있는 말하기에 대해서는 별로 없다.
꼰대가 말하면서 자기가 꼰대인지 모르는 것처럼, 내가 잘못된, 틀린, 나쁜 말하기를 하고 있을 수도 있다.

잘못된 말하기를 하고 있는 분들께 권하는게 있다.


첫번째는 인간적인 공감
공감은 감사하는 마음에서 나온다.
내가 감사하는 마음이 없으면 쏘는 말을 하게 된다.

두번째는 말을 잘 못하는 사람들은 잘 듣질 않는다.
경청의 바디랭귀지는 3L : 리프트(눈썹을 들어올리고), 룩(쳐다보고), 린(기대면)을 하면 일단 경청의 표현이 된다.
상대방의 말을 잘 들으려면 공통점을 찾으려고 하면 안된다.
공감과 공통점을 착각하는데 공감은 같이 느끼는 것이다.
공통점은 '어느 학교다니셨어요? 어디 출신이세요?'라고 묻는것들이다.
공통점을 찾으려는 이유는 '나만' 이야기 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내가 해봐서 아는데'가 공통점을 찾는 대표적인 표현.

경청하려면 차이점에 집중해야 한다.
차이점이 있으면 호기심에라도 들으려한다.
그런데 공통점을 찾고나면 재미가 없기 때문에 집중하지 않는다.

세번째는 쉬운 단어를 쓰는 것이다.
현학적으로 보이려하다보니 어려운 단어들을 쓴다.
어려운 단어들을 쓰다보니 사람간의 관계가 더 멀어진다.

소크라테스도 '목수랑 이야기 할 때는 목수의 언어를 써라'
아이슈타인도 '여섯 살짜리 아이가 이해하지 못했다면 아무도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이런 말을 했다.

어려운 말을 쓰면 본인도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자기가 다 알면 어떻게 쉬운 말로 할지 생각하고 바꾸게 된다.
말을 잘하는 사람들은 말을 쉽게 한다.

상대가 나한테 무례한 말을 하는것의 기저에는 나에 대한 감사함이 없는 것이다.
내 시간에 대한 아까움이 없는 것이다.

말을 시작하는건 다이빙과 같다.
말하기도 늘 준비운동을 해야 한다.
나쁜 말하기는 늘 준비없이 이야기하다가, 생각없이 이야기하다가 나오게 된다.

반응형